<사진> 스타트업 인베스터 언컨퍼런스 조별 토론 사진
우리 협회는 지난 9월 2일부터 5일까지 대전에서 진행되었던 '2024 스타트업 코리아 투자위크(SIW 2024)'의 다양한 행사를 함께 운영하였어요.
먼저 SIW 2024의 사전 행사로 '스타트업 인베스터 언컨퍼런스'를 기획 및 운영하였는데요! 언컨퍼런스는 참석자 지향적 회의방식이에요. 논의 주제와 발제자만 정하고, 토론 패널은 현장 참여자로 섭외하여 진행되었어요.
특히 스타트업 투자자들이 모여 혁신기술 탐색과 딜소싱, 투자와 보육, 자금순환과 회수 등에 관한 지식 교류로 투자 성공 기회를 탐색하고 지역 투자자 생태계를 구축해가는 것을 목표로 기획되었어요.
이날 현장에는 지역 초기투자기관 및 액셀러레이터를 포함하여, 전국의 다양한 투자사 및 공공형 투자기관, 투자자가 되고자 준비 중인 예비 액셀러레이터 등 90여 명이 참여해주셨어요.
특히, 이날은 대전에서 16기 창업기획자 전문인력 양성과정 오프라인 교육도 한창 진행 중이었는데요! 교육과정 내 초기투자 생태계 탐방 일정을 언컨퍼런스와 함께 진행될 수 있도록 하였어요. 이를 통해 예비 액셀러레이터들은 실제 현장에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어요.
<사진> 스타트업 인베스터 언컨퍼런스 中 창업기획자 전문인력 양성과정 교육생 패널토론
스타트업 인베스터 언컨퍼런스는 총 3개의 논의 주제가 있었어요.
먼저 ‘세컨더리 펀드사의 고민과 전략’에 대해 장지영 #라이징에스벤처스 대표님께서 많은 내용을 공유해주셨어요. 특히 구주 매각이란 과정이 기업가치 창출의 과정이 아니기에 신주+구주를 동시 투자하는 펀드가 많이 조성되어야 하고, 구주 투자 시 출자자 대상의 세제 혜택 또한 필요하다는 의견이 인상적이었어요.
두 번째 세션에서는 ‘기후기술 창업:도전과 기회’에 대해 김영재 #KDI대학원 교수님께서 공유해주셨어요. 기후위기를 극복할 다양한 기술과 사업을 많은 나라에서 제시하고 있지만, 한국은 투자도 적고 관련 스타트업도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편이라고 해요. 토론 참석자들은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투자자의 미션에 대해 많은 의견을 공유해주셨어요.
마지막 세션은 ‘로컬크리에이터와 기업금융’에 대해 민욱조 웰컴벤처스 투자본부장님께서 공유해주셨어요. 특히 수익성(생존성) 측면에서 로컬크리에이터는 적은 자본으로 극한 생존의 여건에서 성장하고 있기에 안정적인 투자 대상으로 적격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인상적이었어요. 우리는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와 고용 창출, 새로운 기회의 발굴 관점에서 지역향 로컬 스타트업 투자에 대해 깊게 고민해야할 시점이라고 생각해요.
<사진> 스타트업 인베스터 리버스 피칭
우리 협회는 SIW 2024의 일환으로 9월 3일~4일 양일 간 ‘스타트업 인베스터 리버스 피칭’도 함께 진행하였어요. 본 프로그램은 국내외 스타트업 투자자를 초청하여 투자 철학 및 주요 포트폴리오, 투자펀드 운영 현황 등을 소개하는 피칭 세미나인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