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2024 초기 스타트업 투자자 서밋 특집! 행사에서 다뤘던 주제를 요약했습니다.
6부의 주제는 “회수&자금순환”입니다.
</aside>
.png)
<aside>
✏️ 투자조합의 성공적인 회수를 위한 방안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김상준 교수
</aside>
.jpg)
1. 연구 배경 및 목표 📊
- 연구 의뢰 및 목적: 중소벤처기업부의 연구 과제로 창업기획자(AC)의 운영 실태와 성과 평가.
- 연구 접근: 정부의 정책적 방향성 제시에도 불구하고, 창업기획자의 실질적 운영과 직면한 어려움을 직접 조사.
- 미국 사례 비교: 미국 벤처캐피탈(VC)과의 인터뷰를 통해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인하고 시사점을 도출.
2. 개인투자조합과 벤처투자조합 비교 분석 ⚖️
개인투자조합:
- 성과 및 회수율:
- 평균 ROI(Return on Investment) 평균 2 수준이며 편차가 커지고 있음.
- 투자 금액이 작아 회수 금액도 제한적임
- 주요 문제:
- 조합원 참여 증가에도 특정 산업(IT·정보통신업)으로의 투자 편중 현상이 심각.
- 투자 네트워크가 파편화되어 정보 공유와 협업 부족.
- 초기 스타트업 중심 투자로 회수 금액이 낮은 경우가 빈번.
벤처투자조합:
- 성과 및 회수율:
- 대규모 투자를 통해 회수 금액이 크며, 일부 조합은 800억 원 이상 회수 사례 존재.
- 안정적 투자 공식과 글로벌 벤처 투자 관행을 활용하여 높은 성과 달성 예상.
- 주요 성공 요인(개인투자조합 대비):
- 투자 대상 다변화로 특정 산업에 대한 편중 방지.
- 조합 간 네트워크 밀집과 정보 공유로 협력 강화.
- 리스크 관리와 사후 관리 시스템의 체계적 운영.
- 상대적으로 높은 GP 의존성.
3. 주요 투자 전략 및 제안 💡
- 전문성 및 리스크 관리:
- 전문적인 투자 관리 역량 강화와 사후 관리 시스템 개선 필요.
- 투자 전략 수립 시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정교화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