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2024 초기 스타트업 투자자 서밋 특집! 행사에서 다뤘던 주제를 요약했습니다.
5부의 주제는 “데이터 기반 투자”입니다.
</aside>
.png)
<aside>
✏️ 데이터 기반 투자: 글로벌 트렌드와 우리의 준비 , 마크앤컴퍼니 홍경표 대표
</aside>

1. 데이터 기반 투자 개념 및 배경
- 좋은 투자란 무엇인가?
-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
- 성장은 과거 대비 현재의 데이터 변화를 통해 확인 가능.
- 글로벌 동향:
- 데이터와 AI 활용이 투자 방식 전환을 주도.
- 전통적 투자(직관 기반)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 증가.
- 최근 데이터 기반 투자 관련 리포트가 발간되며 본격적인 변화 시작.(23년도 Data-driven VC Landscape 등)
- 사례:
- 안드리센 호로위츠: "좋은 데이터는 좋은 투자 결정의 기반."
- EQT Ventures: Motherbrain이라는 데이터 기반 투자 툴 개발.
2. 데이터 기반 투자 도구 및 사례
- 대표적인 툴:
- CB Insights: 모자이크 점수로 스타트업 성장 가능성 평가.
- PitchBook: VC Exit Predictor로 스타트업 Exit 가능성 분석.
- Crunchbase, AngelList, Tracxn, dealroom: 스타트업 정보 플랫폼.
- Google Ventures (GV): AI 알고리즘(The machine)으로 투자 가능성 평가.
- Connetic Ventures: 'Wendal'을 통해 회사 정보 등 분석, 미팅 여부 자동 회신
- 국내 사례:
- 마크앤컴퍼니: 그로스 파인더, 혁신의 숲 인사이트, 그로스 매니지먼트 시스템으로 발굴, 투자, 관리, 회수 등 투자 프로세스를 데이터 기반 시스템으로 접근 중.
- 혁신의 숲 주요 데이터: 기업 개요, 산업 분류, 특허 등급, 투자 유치 이력, 고용 변화 등.
3. 데이터 기반 투자의 효과와 변화
- 효율성 증가(Connetic Ventures 사례):
- 투자 의사 결정 속도 10배 향상.
- 투자 결정 가능성 25배 증가.
- 소수 창업자와 여성 창업자 대상 투자 8배 증가.
- 사후 관리 혁신:
- 주주명부 및 펀드 관리 → 디지털화 (예: 카르타, ZUZU, 쿼타북, 미라판, 팩트시트 등).
- 비재무적 데이터 활용 증가 (예: JP모건의 스타트업 금융 진출).
- 비상장 주식 시장 확대:
- 비상장 주식 거래소 (포지 데이터, 나스닥 프라이빗 마켓)의 데이터 활용 사례.
- 두 회사의 공통점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상장 주식 거래소를 운영.
- 회수 시장을 미국에서는 민간 시장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는 모습들이 보임.
4. 도전 과제와 연구 방향